지난 16일 일제고사 결과가 나왔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나온 것이다.
전국 180개 지역을 성적순으로 나누어 순위를 매겼는데, 경남이 하위권이라며 아침 뉴스부터 시작해서 신문마다 난리도 아니다. 결국 어떤 문제가 나왔으며 어떤 기준으로 평가되었는지는 온데간데 없고 어느 지역이 몇 위인가만 남은 꼴이 되어버렸다. 학교별 줄 세우기에 성공 한 제대로 된 ‘학교별 서열화’다.
교육 전문가와 교육청 평가 담당자도 이런 문제점을 고려하여 공개를 반대했다고 하는데 교과부는 무리하게 공개해 버린 것이다.
공개 파장은 일파만파로 퍼치고 있다. 학업성취도가 낮은 지역인 서울 인천의 경우 교장 교감 평가제를 도입하고 ‘0교시 수업’을 부활하여 ‘아침영어’를 실시하는 등 학교 교육 현장을 점수 올리는데 기를 쓰게 만들어 놓았다.
특히, 교과부는 이번 평가를 기준으로 해서 2011년에 학업성취 향상도를 평가하여 예산 지원에도 반영하겠다고 발표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결국, 성적이 오르지 않으면 예산을 깎겠다는 말인데,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것은 결국 학교와 교사의 책임으로 묻겠다는 의미이다. 사실, 아이들의 성적은 결코 학교만의 책임인 것은 아니다. 아이가 처해져 있는 가정환경과 아이들 간의 관계 등 사회 경제적인 다양한 이유에서 발생되는 결과치일 것이다. 2년의 기한을 준다고 하지만, 결코 이 문제는 짧은 시간에 극복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다. 학력수준이 낮은 학교의 경우 교육 소외계층이 많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을 두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2년 후 향상도가 높은 학교에 지원을 높이는 것은 결국 부익부 빈익빈 양상을 야기 시키는 된다.
이처럼 이번 공개는 학교 서열화과 사회 불균등으로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결국 임실과 같이 결과 조작까지 이어지게 만들었다. 이렇게 되면 과연 학력 평가라는 게 누구를 위한 것일까?
결국 아이들과 학부모를 점수에 목을 매는 ‘시험 중독자’로 전락시키게 될 것이며, 승진과 지원금을 위해 ‘학원 식 수업’으로 공교육이 나락으로 떨어지게 만드는 꼴이 되어버릴 것이다.
또한 일부에서는, 이번 시험문제가 학력을 평가하기에 적절했는가에 대한 의문도 제기 되고 있다. 나의 경험을 봐도 그리고 그동안 많은 전문가들이 말해왔듯이 시험은 교육의 과정을 무시하고 창의력 등 사고의 폭을 확장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단순 지식에만 취중한 평가가 과연 바른 평가일까? 이런 지식은 시험 끝나면 곧장 잊어버리기 일수 이고, 시험 보기 전 어떤 내용을 보았느냐에 따라 또는 어떤 족집게 강사를 만났냐에 따라 운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소위 평균을 갉아먹는 아이들이 시험 치지 못하게 하는 몰지각한 일도 심심찮게 발생되는 사태까지 이어질 것이다.
아무리 생각들을 조합해 봐도 일제고사와 평가 공개는 문제점으로만 가득한데, 왜 그들은 이것을 강행하였을까?
가장 큰 이유는 ‘평준화 정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한 명분 만들기일 것이다.
이번 학력저하의 원인을 ‘고교 평준화’로 보고 있는데, 경남교육연대에 의하면 오히려 평준화 지역이 학력이 높은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이런 결과가 있음에도 ‘평준화 정책’으로 인해 학력 수준이 낮다는 것을 강조하는 건 결국 평준화 정책에 흠집 내어 없애고자하는 숨은 의도가 있지 않을까?
평준화 정책 폐지를 바라는 세력은 흔히 돈 많은 집안들일 것이고, 돈으로 교육을 살수 있게 해서 그들의 권력을 세습하는데 정책으로 보탬이 되고자 했을 것이다.
그런 의도가 아니고서야, 경쟁을 부추기는 교육정책의 본산인 영국과 미국도 폐지하려 하고, 일본의 경우는 미공개 방침을 세우고 있는 국제적 흐름을 역행하는 파행을 어떻게 저지를 수 있을까?
지금도 성적에 목을 매게 만드는 교육으로 인해 인간성 상실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전인교육을 후차 문제로 돌리는 이런 교육 정책은 결국 우리의 미래를 포기하자는 말과 같다.
얼마 전 김용일 교수(한국해양대)로부터 들은 말이 떠오른다.
‘우리는 적어도 아이들을 괴물로 만들지는 말자.’
이런 교육 현실 속에서는 참으로 어려운 다짐이다.